공부/경제학

오쿤의 법칙(Okun's law)

zophobia 2024. 11. 6. 16:17

오쿤의 법칙은 경제성장과 실업 사이의 관계를 실증적으로 관찰한 것입니다. 경제학자 아서 오쿤(Arthur Okun)의 이름을 따서 명명된 이 원리는 경제의 생산량(종종 GDP로 측정됨)이 증가하면 실업률이 감소하는 경향이 있고 그 반대의 경우도 마찬가지라는 것을 암시합니다. 보다 공식적으로는 GDP 성장의 변화와 그에 따른 실업률의 변화 사이의 상관관계를 표현합니다.

오쿤의 법칙의 핵심

 

1. 기본 제형

오쿤의 법칙은 일반적으로 '실업률이 1% 증가할 때마다 경제의 GDP는 잠재 GDP보다 약 2% 낮아진다'고 말합니다. 반대로, GDP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면 일반적으로 실업률이 감소합니다.


구체적인 수치는 국가 및 연구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, 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GDP가 추세(잠재성장률)보다 2~3% 증가하면 실업률이 약 1%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
 


2.수학적 표현

오쿤의 법칙의 일반적인 표현은 다음과 같습니다.

 

ΔU=β(ΔYY)

 

정의:
 ΔU : 실업률 변화
 ΔY : 실질 GDP 성장률
 Y* : 잠재 GDP 성장률
 β : 오쿤계수(Okun's Coefficient). 국가와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2~3 사이이다.

 

 

3.의미

경제 정책: 정책 입안자들은 오쿤의 법칙을 대략적인 지침으로 사용하여 실업률을 줄이기 위해 어느 정도의 경제 성장이 필요한지 이해할 수 있습니다.


잠재 GDP 추정치: 오쿤의 법칙은 경제가 완전 고용에 얼마나 가까운지를 나타내는 "산출 격차"(실제 GDP와 잠재 GDP의 차이)를 추정하는 데 도움이 됩니다.

 

 

4.주의사항

고정된 법칙이 아님: 오쿤의 법칙은 엄격한 법칙이라기보다는 경험 법칙에 가깝습니다. GDP 성장과 실업률 사이의 관계는 구조적 경제 요인, 노동 시장 유연성, 생산성 변화에 따라 달라질 수 있습니다.


지연 효과: 채용 지연이나 인력 규모 조정으로 인해 실업이 GDP 변화에 즉시 반응하지 않을 수 있습니다.


비선형 관계: 비즈니스 주기의 여러 단계에서 관계가 완벽하게 비례하지 않을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심각한 경기침체 이후 실업률을 크게 낮추려면 GDP 성장을 더욱 강화해야 할 수도 있습니다.

 


5.실제 적용


경기 침체기 동안 오쿤의 법칙은 증가하는 실업률을 되돌리려면 상당한 GDP 성장이 얼마나 필요한지 강조합니다. 회복 기간, 특히 대규모 경기 침체 이후에 이 규칙은 경제학자들이 실업률이 정상 수준으로 돌아가기 위해 얼마나 많은 성장이 필요한지 추정하는 데 도움이 될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2008년 금융 위기 이후 전 세계 정부는 높은 실업률을 낮추기 위해 GDP 성장을 자극하는 데 중점을 두었습니다.

따라서 오쿤의 법칙은 다양한 조건과 경제 구조로 인해 한계가 인정되기는 하지만 성장과 고용 사이의 관계에 대한 통찰력을 제공하는 거시 경제 계획의 기본 도구 역할을 합니다.

728x90

'공부 > 경제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가격차별  (4) 2024.11.09
자본자산가격모형(Capital Asset Pricing Model (CAPM))  (5) 2024.11.08
소득가설  (6) 2024.11.07
효율적 시장 가설 Efficient Market Hypothesis (EMH)  (4) 2024.11.06
후생경제학 제 1,2 정리  (4) 2024.11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