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각상자/건강

과민성 대장 증후군

zophobia 2025. 1. 20. 22:32
728x90

과민성 대장 증후군(IBS, Irritable Bowel Syndrome)은 소화기관, 특히 대장의 기능적 장애로 인해 복통, 배변 습관 변화, 복부 팽만감 등을 유발하는 만성적인 질환입니다. 기질적인 질환(예: 염증성 장질환, 종양 등)과는 달리, 내시경이나 혈액검사 등에서 구조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습니다.

주요 증상

  1. 복통 및 복부 불편감
    • 주로 하복부에 나타나며, 배변 후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2. 배변 습관 변화
    • 설사, 변비, 또는 설사와 변비가 교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3. 복부 팽만감 및 가스
    • 복부가 더부룩하거나 과도한 가스가 생깁니다.
  4. 점액성 대변
    • 대변에 점액이 섞여 나올 수 있습니다.

분류

  1. 변비형(IBS-C): 변비가 주 증상.
  2. 설사형(IBS-D): 설사가 주 증상.
  3. 혼합형(IBS-M): 설사와 변비가 교대로 나타남.
  4. 분류 불명형(IBS-U): 명확히 분류되지 않는 경우.

원인

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, 다음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:

  • 장-뇌 축의 이상: 장과 뇌 사이의 신경적 신호 전달 이상.
  • 스트레스 및 심리적 요인: 불안, 우울증 등과 관련.
  • 장내 미생물 불균형: 장내 세균 구성의 변화.
  • 장운동 장애: 장의 수축과 이완이 비정상적으로 진행.
  • 음식 민감성: 특정 음식(유제품, 카페인, 지방 등)이 증상을 유발.

진단

  1. 로마 기준 (Rome Criteria)
    • 최근 3개월 동안 복통이 최소 1주일에 1회 이상 발생.
    • 복통이 배변과 관련되거나, 배변 횟수나 대변 형태의 변화와 연관.
  2. 배제 진단
    • 기질적 질환(염증성 장질환, 대장암 등)을 배제하기 위한 혈액 검사, 대변 검사, 내시경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치료 방법

  1. 생활습관 개선
    • 스트레스 관리: 명상, 운동, 상담 치료 등.
    • 규칙적인 식사와 충분한 수면.
    • 저포드맵(FODMAP) 식이: 발효성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방법.
  2. 약물 치료
    • 변비형: 섬유질 보충제, 삼투성 완하제(락툴로스 등).
    • 설사형: 로페라미드(지사제), 장운동 조절제.
    • 복통: 항경련제, 진경제.
    • 기타: 항우울제(저용량 삼환계 항우울제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).
  3. 프로바이오틱스
    • 장내 미생물 균형을 맞추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  4. 심리적 치료
    • 인지행동치료(CBT), 최면요법 등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

예방

  • 균형 잡힌 식단 유지: 자극적인 음식, 고지방 음식, 과도한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를 피합니다.
  • 규칙적인 운동: 스트레스 해소와 장운동 활성화에 도움.
  • 스트레스 관리: 일상생활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를 피하고 긴장을 줄이는 방법을 찾습니다.

IBS는 완치가 어렵지만, 적절한 관리로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. 지속적인 증상이 있다면 의료진과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

728x90

'생각상자 >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노로바이러스(Norovirus)  (0) 2025.02.12
몸에 점이 생기는 경우  (1) 2025.02.01
임신 전 준비사항  (2) 2025.01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