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_admin/blogs/image/category/new_ico_5.gif)
📌 기소물욕 불시어인 (其所勿欲 勿施於人)이 표현은 **"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도 베풀지 말라"**는 의미로, 공자의 《논어(論語)》에서 유래한 유명한 가르침입니다.🔹 출처와 의미✅ 출처: 《논어(論語)》 안연(顏淵) 편✅ 원문:“子貢問曰:‘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?’ 子曰:‘其恕乎!己所不欲,勿施於人。’”✅ 해석:제자 자공(子貢)이 묻기를, "평생토록 실천할 만한 한마디의 가르침이 있습니까?" 하니공자가 대답하길, "그것은 '서(恕, 용서, 배려)'이다.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도 행하지 말라."이 구절은 서(恕), 즉 배려와 역지사지(易地思之)의 태도를 강조하는 핵심 윤리적 가르침입니다.🔹 핵심 교훈1️⃣ 역지사지(易地思之)의 태도내가 싫어하는 일을 남에게 하지 않는 것이 기본적인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