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합성(소비 경쟁)과 배제성(접근 제한)에 따른 재화 구분
재화는 경합성(Consumptive Rivalry)과 배제성(Excludability)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구분 | 배제 가능? (돈을 내야 사용할 수 있는가?) | 경합성? (내가 쓰면 남이 덜 쓸 수밖에 없는가?) | 예시 |
사적재 (Private Goods) | O (배제 가능) | O (경합 있음) | 음식, 옷, 자동차, 스마트폰, 집 |
공공재 (Public Goods) | X (배제 불가능) | X (비경합성) | 국방, 경찰, 공기, 길거리 가로등 |
요금재 (클럽재) (Club Goods) | O (배제 가능) | X (비경합성) | 유료 도로, 넷플릭스, 회원제 서비스, 유료 교육 |
공유재 (Common Goods) | X (배제 불가능) | O (경합 있음) | 바다 속 물고기, 지하수, 공공 Wi-Fi |
1. 사적재 (Private Goods)
✅ 배제 가능 → 돈을 내야 사용 가능
✅ 경합성 있음 → 한 사람이 소비하면 다른 사람이 덜 사용할 수밖에 없음
💡 예시: 음식, 옷, 자동차, 스마트폰, 집
💡 특징: 시장에서 개인이 구매하여 소비하는 일반적인 재화
2. 공공재 (Public Goods)
❌ 배제 불가능 → 돈을 내지 않아도 누구나 이용 가능
❌ 비경합성 → 한 사람이 소비해도 다른 사람의 사용량이 줄지 않음
💡 예시: 국방, 경찰, 공기, 길거리 가로등, 공공도로
💡 문제점: 무임승차(free rider) 문제 → 모두가 이용할 수 있지만, 비용을 부담하려 하지 않음
💡 해결책: 정부가 세금으로 제공
3. 요금재 (Club Goods, 인공적 희소재)
✅ 배제 가능 → 돈을 내야 이용 가능
❌ 비경합성 → 한 사람이 사용해도 자원이 쉽게 줄어들지 않음
💡 예시: 유료 도로, 넷플릭스, 유료 교육, 케이블 TV, 골프장
💡 특징: 일정한 비용을 내면 이용 가능하며, 혼잡하지 않다면 경합이 거의 없음
4. 공유재 (Common Goods, Common-Pool Resources)
❌ 배제 불가능 → 누구나 이용 가능
✅ 경합 있음 → 한 사람이 많이 쓰면 남은 자원이 줄어듦
💡 예시: 바다 속 물고기, 지하수, 공공 Wi-Fi, 공용 목초지
💡 문제점: 공유지의 비극(Tragedy of the Commons) → 개인이 자기 이익만 추구하면 자원이 고갈됨
💡 해결책: 정부 규제, 사용량 제한(예: 어획량 제한, 국립공원 입장료 부과)
🚀 핵심 요약
✅ 사적재 → 돈 내야 하고, 내가 쓰면 남이 못 씀 (음식, 옷)
✅ 공공재 → 공짜고, 내가 써도 남이 쓸 수 있음 (국방, 공기)
✅ 요금재 → 돈 내야 하지만, 남이 써도 크게 문제 없음 (넷플릭스, 유료 도로)
✅ 공유재 → 공짜지만, 너무 많이 쓰면 없어짐 (바다 속 물고기, 공공 Wi-Fi)
📌 경제학에서는 공유재와 공공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이 중요한 이슈! 🚀
'공부 > 경제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행동경제학&심리경제학 용어 정리 (2) | 2025.02.03 |
---|---|
경기 선행,동행,후행 지표 (1) | 2024.12.13 |
왈라스 균형과 마셜 균형 (1) | 2024.12.09 |
경제학의 균형들 (0) | 2024.12.09 |
로버트 루카스 주니어(Robert E. Lucas Jr.) 요약 (1) | 2024.1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