☢ 방사선을 먹고 자라는 곰팡이: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 & 클라도스포리움
🚀 우주와 방사능 오염 지역에서 생존하는 특이한 곰팡이가 존재합니다. 일부 곰팡이는 방사선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성장하는데, 이를 **방사선 영양 곰팡이(Radiotrophic Fungi)**라고 합니다.
🔹 1. 방사선 먹는 곰팡이의 발견
✅ 발견 장소:
-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현장
- 국제우주정거장(ISS)
- 방사선이 강한 우라늄 광산
✅ 주요 곰팡이 종류:
-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 (Cryptococcus neoformans)
- 클라도스포리움属 (Cladosporium spp.)
- 웰스미아属 (Wangiella dermatitidis)
이 곰팡이들은 방사능이 강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뿐만 아니라, 방사선을 흡수하여 성장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
🔹 2. 방사선 에너지를 활용하는 원리
이 곰팡이들은 멜라닌(Melanin) 이라는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.
☢ 멜라닌이 하는 일:
- 방사선을 흡수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
- 세포 손상을 막고 성장 촉진
- 인간 피부의 멜라닌처럼 방사선 보호 효과도 있음
🧪 실험 결과:
연구진은 방사능 환경에서 멜라닌이 있는 곰팡이는 빠르게 성장하고, 멜라닌이 없는 곰팡이는 성장이 느려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 이는 광합성 대신 방사선으로 에너지를 얻는 과정과 유사합니다.
🔹 3. 방사선 곰팡이의 활용 가능성
✅ 1) 우주 방사선 차단
- 국제우주정거장(ISS)에서 이 곰팡이를 이용해 방사선 차단 실험이 진행됨
- 화성 탐사, 장기 우주여행 시 우주방사선 차단 소재로 활용 가능
✅ 2) 방사능 오염 제거 (생물복원, Bioremediation)
-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지역에서 방사능 오염 제거 연구 진행 중
- 곰팡이가 방사능을 흡수하여 독성을 줄일 가능성
✅ 3) 방사능 보호 약물 개발
- 멜라닌을 기반으로 방사선 방호제 개발 가능
- 우주 비행사, 원전 근로자, 방사선 치료 환자를 위한 보호 기술 연구
🔹 4. 결론
☢ 방사선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곰팡이는 지구뿐만 아니라 우주 환경에서도 유용할 가능성이 큽니다. 앞으로 우주 방사선 차단, 방사능 정화, 신약 개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 🚀
728x90
'과학 기술 > 생명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돌연변이가 생기는 이유 (0) | 2025.02.19 |
---|---|
텔로미어(Telomere) (2) | 2025.02.14 |
장 길이와 뇌 크기의 상관관계 (0) | 2025.02.13 |
장-뇌 축(Gut-Brain Axis) (0) | 2025.02.13 |
번개로 아미노산을 만드는 실험 – 밀러-유리 실험 (0) | 2025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