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우주에는 다양한 규모의 구조물이 존재하며, 이를 크기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🔹 1. 행성 (Planet)
- 크기: 수천~수만 km
- 예시:
- 지구 (12,742 km)
- 목성 (139,820 km)
- 태양계 외행성 (수만 km)
🔹 2. 항성 (Star)
- 크기: 수십만~수백만 km
- 예시:
- 태양 (약 1,392,700 km)
- 베텔게우스 (약 1.2~1.5억 km, 태양의 약 1,000배)
- UY Scuti (태양의 1,700배, 약 2.4억 km)
🔹 3. 행성계 (Planetary System)
- 크기: 수백 AU(천문단위, 1AU = 1억 5천만 km)
- 예시:
- 태양계 (약 100 AU, 카이퍼 벨트 포함)
- TRAPPIST-1 행성계
🔹 4. 항성계 (Stellar System)
- 크기: 수백~수천 AU
- 예시:
- 알파 센타우리 (세 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진 다중성계)
- 시리우스 항성계
🔹 5. 성운 (Nebula)
- 크기: 수광년~수백 광년
- 예시:
- 오리온 성운 (Orion Nebula, 24광년)
- 게 성운 (Crab Nebula, 11광년)
🔹 6. 성단 (Star Cluster)
- 크기: 수백~수천 광년
- 예시:
- 플레이아데스 성단 (M45, 약 43광년)
- 헤라클레스 구상성단 (145광년)
🔹 7. 은하 (Galaxy)
- 크기: 수만~수십만 광년
- 예시:
- 우리 은하 (Milky Way, 약 10만 광년)
- 안드로메다 은하 (M31, 약 22만 광년)
🔹 8. 은하군 (Galaxy Group)
- 크기: 수백만 광년
- 예시:
- 국부은하군 (Local Group, 약 1천만 광년)
-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 포함
🔹 9. 은하단 (Galaxy Cluster)
- 크기: 수천만~1억 광년
- 예시:
- 처녀자리 은하단 (Virgo Cluster, 1억 광년)
- 코마 은하단 (Coma Cluster, 약 2억 광년)
🔹 10. 초은하단 (Supercluster)
- 크기: 수억~수십억 광년
- 예시:
-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(Laniakea, 5억 2천만 광년)
- 페르세우스-물고기자리 초은하단 (약 10억 광년)
🔹 11. 거대 구조 (Cosmic Large-Scale Structure)
- 크기: 수십억~100억 광년
- 예시:
- 슬론 장성 (Sloan Great Wall, 약 13.7억 광년)
- 허큘레스-코로나보레알리스 장성 (약 100억 광년, 가장 거대한 구조물)
🔹 12. 관측 가능한 우주 (Observable Universe)
- 크기: 930억 광년
- 우주의 가장 큰 구조는 관측 가능한 우주 전체입니다. 이는 우리가 빛을 통해 볼 수 있는 가장 먼 거리까지 포함한 크기입니다.
📌 결론: 가장 큰 우주 구조물은?
✅ 관측 가능한 우주(930억 광년) > 허큘레스-코로나보레알리스 장성(100억 광년) > 초은하단(수억 광년) > 은하단(수천만 광년) > 개별 은하(수십만 광년)
이러한 구조물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중력과 암흑에너지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하고 있습니다. 🚀
728x90
'과학 기술 > 천체물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블랙홀 질량의 한계 (0) | 2025.02.02 |
---|---|
거대 인력체(Great Attractor) (0) | 2025.02.01 |